
과학자들이 3차원(3D) 프린팅 기술을 활용해 췌도를 제작하는 데 성공했다. 혈당 조절을 위한 인슐린을 분비하는 췌도가 제 기능을 못 하는 1형 당뇨병 환자를 치료하는 새로운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쿠엔틴 페리 미국 웨이크포리스트대 의대 연구원 연구팀은 3D 프린팅으로 췌도를 제작한 뒤 1형 당뇨병 환자를 위한 치료 가능성을 확인하고 연구 결과를 30일 영국 런던에서 열리는 유럽장기이식학회(ESOT) 총회에서 발표한다. 췌도는 혈당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췌장 내 세포덩어리를 뜻한다. 1형 당뇨병 환자는 췌장의 췌도에서 인슐린이 생성되지 않아 평생 인슐린을 투여받으며 혈당을 모니터링해야 한다. 뇌사자의 췌장에서 췌도를 분리해 당뇨병 환자에게 이식하는 근본적 치료 방법이 있지만 이식을 위해 환자가 오랜 시간 대기해야 한다. 췌도를 이식해도 효과를 보기 쉽지 않다. 췌도 이식은 일반적으로 당뇨병 환자의 간에 이뤄진다. 문제는 이식된 췌도 세포의 생존율이 낮고 간 조직이 손상될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