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연구진이 인공지능 딥러닝 기술로 흉부 컴퓨터단층촬영(CT) 영상을 분석해 루게릭병 환자의 호흡 기능을 평가할 수 있는 새 지표를 만들었다. 루게릭병 환자의 호흡 기능 평가는 주로 폐활량 검사를 통해 이뤄지지만, 구강안면 근육이 약한 환자는 검사 정확도가 떨어진다. CT 영상을 통한 호흡기능 평가는 이런 한계를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서울대병원 신경과 최석진·성정준 교수와 영상의학과 박창민·최규성 교수가 공동 연구팀은 루게릭병 환자 261명의 흉부 CT 영상을 분석해 폐와 호흡근육의 부피를 분석하는 방식으로 루게릭병 환자의 호흡 기능을 평가할 수 있는 새로운 검사 지표를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루게릭병은 뇌와 척수의 운동신경세포가 점차 파괴되는 치명적인 신경퇴행성 질환이다. 병이 진행될수록 호흡근까지 마비되며, 발병 3~4년째면 호흡부전으로 사망에 이른다. 이에 루게릭병 환자는 폐활량 검사를 통해 정기적으로 호흡 기능을 측정한다. 이후 그에 따라 적절한 치료 방침을 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