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 '의정갈등, 대화 통해 신뢰 회복'…의협 "인식과 해법 같아"

이재명 대통령이 의정 갈등 해결을 위해 2학기 의과대학 학생들의 복귀를 지원하는 방안을 마련하겠다는 뜻을 밝힌 가운데, 대한의사협회(의협)도 이에 동의한다는 입장을 내놨다. 김택우 의협 회장은 3일 의협 정례브리핑을 열고 "대통령께서 의료사태에 대해 협회와 같은 인식을 가지고 있으며 해법 또한 다르지 않다는 것으로 받아들이고 있다"고 말했다. 김 회장은 "의대생들이 돌아와 다시 공부할 수 있도록 의학교육 정상화가 필요하다"며 "한 학년에 2개의 교육과정을 구성해야 하는 각 대학의 부담은 너무 클 것이지만, 학생들이 학업에 충실할 수 있도록 의과대학에서는 어려운 결단을 해주시기를 부탁드린다"고 밝혔다.  또한 "정부 역시 오늘 대통령께서 언급하신 바와 같이 복귀를 위한 대책을 같이 준비하자"고 제안했다. 아울러 "수련을 중단한 전공의들 역시 제자리로 돌아갈 수 있도록 준비가 돼야 한다"며 "여기에는 많은 이해당사자들과 정책 당국의 이해와 노력, 그리고 투자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빠른 사태 해결과 신뢰를 강조한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의 조속한 임명 결정을 통해 의료사태 해결을 위한 장이 열리길 바란다"고 말했다. 앞서 이 대통령은 이날 취임 30일 기자회견을 열고 의정갈등 해법과 관련해 "(의정 간) 신뢰를 회복하고 대화를 충분히 한다면 해결할 수 있다"며 "이번 2학기에 (의대생들이) 가능하면 복귀할 수 있는 상황을 정부 차원에서 많이 만들어 내야 한다"고 언급했다. 이 대통령이 취임 이후 처음으로 의정 갈등에 대한 입장을 공개적으로 밝힌 가운데, 의료계는 대통령의 발언에 대체로 환영하는 분위기다. 조윤정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전의교협) 회장은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 정부와 비교하면 실용주의 원칙 아래서 합리적인 이야기를 해왔다"며 "의정갈등을 해결하는 데에서도 잘 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이어 "의대생들과 전공의들도 '지난 정부보다 못하겠느냐'며 대체적으로 환영하는 분위기"라고 전했다. 한 사직 전공의는 "크게 새로운 언급은 없지만 (윤석열 전 대통령과) 기본적인 생각 자체가 다르니 대화가 가능할 것 같다"며 "복지부 장관이 조속히 임명돼 의료계와의 대화가 빨리 시작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새 지도부를 구성한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 비상대책위원회는 정부와의 협의를 준비하고 있다. 비대위는 전날부터 전공의를 대상으로 '9월 수련병원 복귀'를 위한 대정부 요구조건을 묻는 설문을 실시 중이다. 비대위는 설문에서 대전협이 정부 측에 요구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조건 11가지에 우선순위를 매겨달라고 요청했다. 비대위가 제시한 조건들은 △윤석열 정부의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와 의료개혁 실행방안 재검토 △보건의료 거버넌스의 의사 비율 확대 △의과대학 정원의 3년 예고제 준수 △수련 병원의 전문의 인력 채용 확대 △불가항력의 의료 사고에 대한 법적 부담 완화 △전공의 수련 환경 개선 △군 입대 전공의 및 입영 대기 상태의 전공의에 대한 수련의 연속성 보장 △의료법 제59조(업무개시명령) 폐지 △헌법 제33조에 따른 전공의의 노동 3권 보장 △의대생 24·25학번의 교육 문제 해결 △의대생 학사 유연화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