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6월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소설가 김애란(45)은 파독 광부, 간호사 출신 교민 1세대 어르신을 모신 낭독회에 참석했다. 그는 이 자리에서 자신의 단편소설 ‘홈 파티’를 읽었다.내용은 이렇다. 대학 최고경영자 과정 동기생들이 모인 어느 우아한 저녁 자리. 이들은 ‘요즘 보육원 아이들이 자립정착금으로 명품 가방을 산다더라’는 얘기를 화제에 올리며 혀를 찬다. 잠자코 듣던 주인공이 그 대목에서 입을 연다. “그나마 그게 가장 잘 가릴 수 있는 가난이라 그런 것 같다”고. 비난할 것도, 칭찬할 것도 없는 보통의 마음을 옹호한다.당시 낭독을 듣던 파독 간호사 한 분이 무릎을 쳤다고 한다. “맞아요. 우리도 이민 가방 딸랑 하나 들고 왔지만, 차(車)는 다 좋은 걸 사려고 했거든요.” 어르신의 삶이 묻어난 독후감이자, 보통의 마음이 세대와 국경을 넘어 연결되는 순간이었다.1일 서울 종로구 동아일보 사옥에서 만난 김 작가는 “청년 세대들을 지지해 주고 싶은 마음으로 쓴 글이 이렇게도 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