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2월 14일,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소추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재적의원 300명 전원이 투표에 참여해 찬성 204표, 반대 85표, 기권 3표, 무효 8표로 가결되면서, 윤석열은 대한민국 헌정사상 세 번째로 국회의 탄핵소추를 받은 대통령이 되었다.
박근혜 전 대통령(2016년), 노무현 전 대통령(2004년)에 이어 또 한 번, 민주주의의 중대한 기로에 선 이 사건은 단순한 정치적 사건이 아니다. 이는 촛불 시민들의 외침과 집념이 만든 결과이며, 그 중심에 서산·태안·당진 시민들로 구성된 '서산태안당진 촛불행동'이 있었다.
"촛불은 모여 강이 되고, 바다가 된다"2022년 10월 22일, 서산에서 '윤석열 퇴진 촛불버스'가 처음 운행됐다. 이후 매월 셋째 주 토요일마다 단 한 차례도 빠지지 않고 서울로 향했다. 촛불행동 공동대표 김애란 씨는 당시의 기억을 이렇게 전한다.
"서울 광장에 하나의 촛불을 들고 서면, 어느새 수많은 이들이 촛불을 들고 함께합니다. 그 모습은 연대의 명령처럼 느껴졌고, 작은 촛불들이 모여 강이 되고, 바다가 되는 경험이었습니다."
"12월 3일 계엄령 이후, 젊은 청년들은 응원봉을 들고 촛불문화를 바꿔냈어요. 이제는 거대한 응원봉의 바다가 청년들의 새로운 상징이 되어, 민주주의를 역행하는 세력에게 문화적 경고를 보내고 있습니다."
"촛불은 처음부터 필요하지 않았다. 하지만…"김 대표는 윤석열 정권 출범 초기의 국민 정서를 이렇게 회고한다.
"손바닥에 '왕(王)' 자를 쓰고 나온 윤 대통령의 모습을 보며 많은 이들이 '그래도 잘하겠지'라는 기대를 품었죠. 정권이 잘 돼야 나라가 잘 될 것이라는 믿음 때문이었어요. 그래서 처음부터 촛불을 들 이유는 없었습니다."
하지만 기대는 오래가지 않았다. 정부의 실패한 외교정책, 급등한 물가로 인한 민생 불안, 이태원 참사와 무책임한 태도, 노동자에 대한 적대적 정책 등으로 지역에서도 촛불을 드는 시민들이 점점 늘어나기 시작했다.
"시민의 의지가 촛불버스를 지켰다"전체 내용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