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 연구진이 인공지능(AI)을 활용해 방사성 오염물질 아이오딘(요오드)을 제거할 신소재 발굴에 성공하고 산학협력을 통한 상용화 추진에 나섰다.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원자력및양자공학과 류호진 교수팀이 한국화학연구원(KRICT) 노주환 박사와 함께 인공지능을 활용, 아이오딘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신소재를 확보했다고 2일 밝혔다.아이오딘은 반감기가 길고(I-129의 경우 1570만 년) 이동성 및 생체 유독성이 높아 환경 및 인체에 심각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수용액 환경에서 아이오딘산염(IO3-) 형태로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나 기존 은 기반 흡착제는 낮은 화학적 흡착력을 보인다.이번에 류호진 교수팀은 기계학습을 활용해 다양한 금속원소를 함유한 ‘이중층 수산화물(LDH)’이란 최적의 아이오딘산염 흡착제를 발굴했다. 개발된 구리-크롬-철-알루미늄 기반의 다중금속 이중층 수산화물 Cu3(CrFeAl)은 아이오딘산염에 대해 90% 이상의 뛰어난 흡착 성능을 보였다. 연구팀 관계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