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DS 준수해야 하는 공공 웹, AI 기반 검증 기술에도 ‘주목’

131919305.1.jpg대한민국 정부가 업무 전산화를 시도한 것은 1967년, 경제기획원에 ‘IBM 1401’ 메인프레임 컴퓨터를 도입한 것이 그 시초라고 한다. 이후에도 우리나라는 디지털 기술을 통해 행정 효율성을 높이는 ‘전자정부’를 꾸준히 지향해왔다.그 결과, 2024년 발표 기준으로 우리나라는 유엔 전자정부평가에서 세계 193개국중 최상위권인 4위를 차지했다. 특히 ‘온라인서비스’ 부문의 평가는 세계 1위였다. 실제로 우리나라는 각종 정보 확인, 서류의 접수나 발급, 기타 민원을 비롯한 대부분의 공공 서비스를 온라인을 통해 이용할 수 있다.다만, 그렇다고 해서 현재 공공 서비스용 웹에 개선할 점이 없는 건 아니다. 아직도 많은 사람들, 특히 노인이나 장애인과 같은 정보 약자들이 이용하기에는 접근성이 낮다. 그리고 기관마다, 혹은 부서마다 다른 UI(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UX(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 경우가 많아 이용자가 혼란을 겪기도 했다.이에 행정안전부(이하 행안부)에서는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