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초고령 사회 치매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가운데, 노년기 치매 발병 위험 요인인 사회적 고립, 저체중, 대기오염, 시력 저하 등에 적절히 대응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전문가 제언이 나왔다. 26일 한국의학바이오기자협회에 따르면 최성혜 대한치매학회 이사장(인하대병원 신경과 교수)은 최근 서울 중구 상연재 시청역점에서 개최한 미디어 아카데미에서 이같은 내용의 한국인 치매 관리와 예방에 대해 강연했다. 최 이사장은 ‘한국인의 치매 바로 알기, 더 나은 내일을 위한 여정’을 주제로 한 강연에서 “2030년 출생 여아의 절반 이상이 90세 넘게 생존할 확률이 57%에 달할 것으로 보여 앞으로 어떻게 건강하게 오래 살 것인가가 숙제”라고 말했다.그러면서 “평소 교정 가능한 치매 위험 요인을 적극적으로 관리하면 치매 유병률을 45% 가량 줄일 수 있다”면서 “관리의 핵심은 중년기와 노년기 각기 다른 위험 요인을 파악해 적절히 대응하는 것“이라고 했다. 또 ”이를 널리 알리는 캠페인과 정책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