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자궁내막증 환자는 최근 5년간 50% 늘며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질환에 대한 낮은 인식과 다양한 증상으로 인해 적절한 시기에 진단받지 못해 발병부터 확진까지 평균 5∼10년이 소요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자궁내막증은 여성의 삶의 질 저하와 난임의 주요 원인으로 꼽히는 질환으로 조기 진단을 통한 적극적인 치료와 관리가 필요하다. 올해부터 보건복지부가 임신과 출산의 고위험 요인을 조기에 발견하고 관리하기 위해 가임력 검사비 지원 대상을 결혼 여부나 자녀 수와 관계없이 20∼49세의 모든 남녀로 확대하고 횟수도 최대 3회까지 가능하도록 했다. 여성의 경우 자궁내막증 진단이 가능한 초음파검사와 난소기능검사(AMH)에 최대 13만 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어 자궁내막증의 조기 진단에 긍정적인 환경이 조성됐다. 강남세브란스병원 산부인과 조시현 교수를 만나 자궁내막증의 증상과 치료 방법에 대해 자세히 물었다. ―자궁내막증의 증상은 무엇인가. “가임기 여성의 10∼15%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