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병특검, 'VIP격노설' 수사 본격화…내주 김계환 등 소환
채상병 사망 사건과 수사방해 의혹을 수사하는 순직해병특검이 내주부터 이른바 'VIP 격노설'에 대한 수사에 본격 착수한다.
정민영 특별검사보는 4일 오전 서울 서초구 특검 사무실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다음 주부터 이른바 'VIP 격노설' 관련 조사를 본격화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VIP 격노설은 윤석열 전 대통령이 고(故) 채모 상병 순직 사건과 관련한 해병대 수사단의 초동 조사 결과를 보고 받은 후 격노하면서,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이 예정된 언론 브리핑과 경찰로의 사건 이첩 보류를 지시했다는 의혹이다.
정 특검보는 "수사 외압 촉발 계기는 2023년 7월 31일 대통령실에서 열린 회의였다"며 "대통령 주재 수석비서관 회의인데 당초 채모 해병 사망 사건 수사 결과 임성근 당시 1사단장이 혐의자로 특정돼 있다가 이 회의 이후에 빠졌다"고 말했다.
해당 의혹과 관련해 해병특검은 오는 7일 오전 10시 30분 김계환 전 사령관을 소환조사하기로 했다. 김 전 사령관도 특검에 출석 의사를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정 특검보는 "이 전 장관이나 대통령실로부터 어떤 지시를 받았는지가 주된 조사 내용이 될 것"이라며 "임성근 전 사단장의 허위보고 관련 내용도 조사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김 전 사령관은 채상병 사건 초동조사를 이끌었던 박정훈 전 해병대 수사단장에게 처음으로 'VIP 격노설'을 전달해준 인물로 지목받고 있다.
해병특검은 VIP 격노설과 관련해 회의 참석자뿐만 아니라 관련 정황을 알고 있을 것으로 보이는 여러 회의 관계자들도 수사한다는 방침이다.
한편 해병특검의 핵심 수사 대상자인 이 전 장관은 특검에 공정한 권한 행사를 촉구한다는 내용의 의견서를 제출하며 항변하고 있다. 의견서에는 박 전 단장에 대한 항명 혐의 사건의 항소를 취하해서는 안 된다는 내용 등이 포함됐다.
한편, 해병특검은 채상병 사건 수사외압 의혹을 받는 국방부 유재은 전 법무관리관, 박경훈 전 조사본부장 직무대리 등의 사건 관련자들도 출국금지 조치했다. 수사기록 검토를 마치는 대로 조만간 관련자들에 대한 소환조사를 이어나갈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