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지율 따라 춤추는 대선 테마주…'작전세력' 없앨 방법은
대통령 선거의 계절이 돌아왔습니다. 주식시장도 '정치 테마주'가 기승을 부리고 있습니다. 대선 후보의 공약에 따라 정책적 수혜가 예상되는 종목이 테마주로 묶이는 건 논리적인 편이죠.
후보와 최대주주가 같은 학교를 나왔거나 고향이 같은 경우, 동성동본 등 갖가지 황당한 이유로 테마주가 됩니다. 유력 후보 테마주로 분류된 종목의 주가가 치솟다 보면 최대주주가 지분을 팔거나 CB(전환사채)나 BW(신주인수권부사채) 행사도 심심찮게 벌어집니다.
대부분 주가는 선거일을 전후해 하락합니다.
자본시장연구원 남길남 선임연구위원이 2002년 16대, 2007년 17대, 2012년 18대, 2019년 19대 대선에서 최종 득표율 20% 이상을 받은 9명의 후보의 테마주로 분류된 107개 종목 중 비정상적인 가격급등 현상을 보인 70종목을 분석한 결과입니다.
테마주의 평균 누적비정상수익률은 대선 5거래일 전 –1.14%로 시작해 대선 전 거래일에 –6.47%까지 하락폭을 키웁니다. 대선 이후 평균 수익률은 다음날 –2%에서 5거래일 뒤 –7.7%로 확대합니다. 누적비정상수익률은 간단히 말해서 시장의 평균 수익률을 초과한 부분만 떼어낸 수익률을 뜻합니다.
분명한 것은 정치 테마주의 움직임이 정상 범주에서 벗어났다는 사실입니다. 정치 테마주 관련 이상매매 현상의 대표적인 것은 '상한가 굳히기'인데요. 의도적으로 종가를 상한가로 만들고, 다음 거래일에 추가 상승을 기대하며 매수하는 투자자들에게 물량을 떠넘기는 수법입니다.
따라서 남 선임연구위원은 이상급등 현상을 보인 70종목을 대상으로 대선 기간 전후 상한가 비율을 산출하고, 같은 기간 코스피와 코스닥의 상한가 비율을 비교했습니다.
그 결과 대선 기간 중 정치 테마주의 상한가 비율은 코스피와 코스닥의 상한가 비율보다 최소 4배 이상 높게 나타났습니다. 선거 이후 그 비율은 감소합니다.
2022년 3월 치러진 20대 대선 때도 마찬가지입니다. 2021년 정치 테마주의 상한가 비율은 일반 종목보다 거의 7배 가까이 높습니다.
당시에는 코스피200과 코스닥150 구성 종목, 즉 대형주를 제외한 나머지 종목의 공매도가 금지됐습니다. 정치 테마주는 중·소형주이기 때문에 공매도가 불가능한 탓에 상한가 비율이 늘어난 것으로 분석됩니다.
특히 19대 대선의 정치 테마주에 주목할 만한 점이 있습니다.
당시 정치 테마주는 코스피와 코스닥 대비 상한가 비율이 18대 대선 때보다 각각 19.4%와 14.9% 등 1/5 수준으로 감소한 것인데요. 이는 2015년 6월 주식의 가격제한폭이 기존 15%에서 30%로 확대한 영향으로 풀이됩니다.
즉 가격제한폭이 확대가 상한가 굳히기를 이용한, 이른바 '작전세력'이 더 활개 치는 계기가 될 것이라는 우려와 반대로 이상매매 현상을 완화하는 효과를 낸 셈입니다.
따라서 작전을 비롯한 이상매매 현상을 줄이기 위해 미국과 영국, 홍콩 등처럼 가격제한폭을 없애는 것도 고려할 만한 시점이라는 목소리가 나옵니다. 이미 많은 투자자가 거래 중인 가상자산 시장처럼 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