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장관 후보자, 논문 중복게재 의혹…"인사청문회서 소명"
이진숙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충남대 교수 재직 시절 작성한 논문이 중복게재 논란에 휩싸였다.
4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김민전 의원실에 따르면, 이 후보자는 충남대 교수 재직 당시인 2018년 2월 '조명의 면적 및 조도 연출 변화에 따른 피로감 평가 연구'라는 제목의 논문을 한국색채학회논문집에 발표했다. 한 달 뒤에는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지에 '조명의 면적 및 조도 연출 변화에 따른 불쾌글레어 평가 연구' 논문이 실렸다.
그런데 두 논문은 실험 참가자 조건이 동일하고, 연구방법론과 결론상의 유사점이 높다는 지적이 나왔다.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 문헌 유사도 검사 결과, 두 논문의 전체 유사도는 35%로 나타났다. 전체 106개 문장 중 11문장이 같았고, 61문장은 유사 의심 문장이었다.
두 논문은 실험 참가자 조건이 동일했다. 두 논문은 "건축조명환경에 지각적 능력이 있다고 인정되는 건축공학과 3학년 이상 및 대학원생 18명이 참가했으며, 색약·색맹 등 안과 질환이 없거나 교정시력 1.0 이상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했다"고 밝혔다.
논문의 결론도 비슷했다. 두 논문 모두 "연출 불변시 지표등급은 배경 휘도와 광원 휘도간 휘도비가 낮거나 고면적·저조도의 연출에서 대부분 허용 범위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색채학회 논문에 실린 '되도록 연출 간 유사 면적 및 조도범위 안에서 설계가 고려돼야 한다'는 문구가, 조명·전기설비학회 논문에는 '되도록 연출 간 유사 공간 조도범위 안에서 설계가 고려돼야 한다'로 바뀌었다. '면적'이 '공간'으로 바뀐 것이다.
2015년 개정된 교육부 '연구윤리확보를 위한 지침'에 따르면, '자신의 이전 연구 결과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저작물을 출처 표시 없이 재게재하고 이를 통해 연구비를 업적으로 인정받는 경우'를 부당한 중복게재로 규정하고 있다.
김민전 의원은 "연구윤리에 위배되는 여러 의혹들이 있는 만큼, 인사청문회를 통해 해당 후보자의 논문이 면밀히 검증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교육부 인사청문회 준비단 관계자는 "2007년부터 2019년 사이에 작성된 논문은 총장 임용 과정에서 '총장 임용 후보자 연구윤리 검증위원회'로부터 '연구 부정 행위가 없음으로 확인된 논문들"이라며 "다만 제기된 의혹에 대해서는 인사청문회 과정에서 충실하게 소명할 예정"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