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강산에서 출발해 조선 한양 일대의 풍경을 지나, 마음속 풍경을 그리는 문인화를 거쳐 꽃과 동물을 그린 화조영모화까지. 한반도의 풍경을 화폭에 담은 ‘진경산수화(眞景山水畵)’로 잘 알려진 조선의 대표 화가 겸재 정선(1676∼1759). 그의 전반적인 예술 세계를 조망하는 기획전 ‘겸재 정선’이 2일 경기 용인 호암미술관에서 개막한다. 삼성문화재단과 간송미술문화재단이 공동 개최하는 전시는 18개 기관과 개인 소장품 165점(국보 2건, 보물 7건 57점, 부산시유형문화재 1건)을 아울렀다. 10년 만에 전시되는 대표작 ‘금강전도’와 인왕산을 그린 ‘인왕제색도’, 1000원권 지폐에 담긴 ‘계상정거도’ 등을 한자리에서 만날 수 있다. 한국의 대표적인 사립미술관인 간송과 호암이 협력해 공동 개최하는 전시도 이번이 처음이다.● 그림으로 만나는 금강산“금강산을 돌아다니는 것보다 마음 편히 작품으로 감상하는 게 더 낫다.” 조선에선 겸재의 ‘금강전도’를 두고 이런 말이 세간에 떠돌았을 정도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