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이 4일 11시 22분에 파면되었다. 윤석열의 불법 쿠테타가 단죄된 것이다. 돌아보면, 윤석열의 내란을 진압하면서 응원봉과 함께 돋보였던 게 깃발이다. 여의도와 광화문을 넘어 온누리에 저마다의 깃발이 오르고 그 물결이 펼쳐질 때 가슴은 뜨거워지고 함성은 우레가 되었다. 깃발의 축제! 힘이 솟구치고 진군은 거침없었다. 깃발의 대동제! 기개는 펄떡거리고 승리하리라는 믿음이 넘쳐났다. 응원봉이 밝힌 모든 불빛이 사랑스럽듯 깃발 하나하나가 참으로 소중했다.
광장에 우뚝 솟은 장군기는 특히 값졌다. 대장기가 앞장서면 행진은 용기백배하고 대장기가 뒤를 받치면 마음이 든든했다. 12월 3일 이래 장군기를 치켜올린 이는 바로 여현수였다.
그는 토요일이면 어김없이 여의도와 광화문에 모습을 드러냈다. 여현수가 든 용기의 깃대 높이는 대략 6.5m,. 대나무로 만드는데 그가 담양에서 직접 골랐다. 이때 굵기가 중요하다. 손아귀에 들어갈 정도면 휘어질 수 있기에 손가락 한마디만큼이 삐져나오는 놈을 택한다. 깃대 끝에는 가슴 높이의 꿩작목이 올라가 있다. 꿩의 깃털로 만들고 하늘과 땅을 잇는다는 의미를 지녔다. 깃발은 예로부터 광목으로 제작했는데 여현수는 날림새를 좋게 하기 위해 가벼운 천을 택했다. 가로는 5m, 세로는 3m에 이르고 테두리를 에돌아 지네발이라고도 하는 빨간 깃수염을 달았다. 여현수가 직접 재봉질을 해 만들었다. 깃대와 깃발의 무게를 감당하려면 허리에 차는 기받이와 깃대 끄트머리에 동여매는 깃끈도 필요하다.
여현수가 든 용기에는 "국민이 주인이다"라는 문구가 뚜렷하다. 글귀를 쓰신 분은 정읍에서 '우리누리선비문화관'을 운영하는 서예가 김두경 선생, 여현수와는 스승과 제자 쯤 되는 사이다. 여현수가 용기의 흰바탕을 무엇으로 채울까 여쭈니 김두경은 '농기'가 농민의 염원을 담듯 광장의 염원을 담자며 "국민이 주인이다"를 제안했다. 김두경은 글씨의 형태도 오랫동안 고민하고 연습도 여러차례 한 다음 작은 붓으로 조심스레 덧칠해 완성했다. 여현수는 용기가 꼴을 갖추자 기뻤다. 이 깃발이 광장의 기운을 북돋우리라 믿었기 때문이다.
드디어 대장기가 올라왔구나올해 마흔넷인 여현수가 사는 곳은 전북 고창, 토요일이면 그는 아침 일찍 서해안 고속도로를 달려 서울로 향한다. 그가 차를 세우는 곳은 시청역 인근, 주말이면 단속을 하지 않는 어느 후미진 골목이다. 서울까지 오가려면 기름값에 통행료 등 돈이 제법 들어간다. 뿐인가. 서울에 도착해 서두른다고 촌에서 하는 습관으로 불법 유턴하다가 과태료를 몇 번 맞았고 차 지붕에 8미터나 되는 장대를 달고 가니 교통경찰에게 여러 번 걸렸다. 또 광화문 뒷길에 어설프게 차를 세워두었다가 주차딱지까지 집으로 날아오게 했다. 비용도 아껴야 하고 아내의 불호령도 무서운 참에 무료 주차장을 찾아낸 셈이니 반가울밖에. 문제는 시청부터 광화문까지 걸어야 한다는 것이다. 장대는 둘러매면 되지만 지나는 길에 극우의 집회와 부딪힐 땐 봉변을 당할까 가슴이 조마조마하다.
여현수는 광화문을 마주하는 의정부지 역사유적터에 도착하면 용기를 내려 기를 펼친 다음 이리저리 몸을 푼다. 기를 잡은 지 벌써 10여 년 단련이 되었으나 '윤석열즉각퇴진·사회대개혁 비상행동'(비상행동)의 사전집회부터 행진 후 늦은 밤에 마무리까지 함께하려면 몸과 마음의 준비를 단단히 해야 한다.
여현수가 준비를 마치고 용기를 들면 사방에서 탄성이 터진다. 드디어 대장기가 올라왔구나. 광장에 그득 찬 작은 깃발이 마치 어미새를 만난 듯 들썩인다. 12월 3일부터 벌써 4개월째에 이르니 낯익은 얼굴이 많다. 달려와 악수하고 물을 챙겨주고 요깃거리를 준다. 여현수는 고맙게 받아드나 닭이 모이쪼듯 입만 축인다. 왜냐하면 광장에 들어서면 깃발을 지닌 채 화장실을 오갈 수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물도 안 마시고 끼니도 거른다. 일정이 끝난 후에도 저녁을 먹지 않는다. 갈 길이 먼데다 배가 두둑하면 자칫 졸음운전을 할까 겁이 나서다.
여현수는 집회의 분위기가 조금씩 달아오르면 깃끈을 부여잡고 서서히 깃발춤을 춘다. 파도를 타듯 기를 내리깔아 바닥을 쓸고 다시 세워 머리 높은 곳에서 너울너울 깃발의 물길을 연다. 깃발이 일으키는 물마루는 넘실대고 꿩장목은 금방이라도 차고 오르려 한다. 하늘로 날아 천지신령님에게 "국민이 주인이다"라는 민초의 염원을 아뢰고 북두칠성님에게는 평화와 민주를 간구할 양이다.
전체 내용보기